🔍 왜 900px까지만 지원할까?
“출력 가로 크기가 왜 900px까지만 되나요?”
하는 질문이 종종 나옵니다.
이는 단순히 제한을 걸어둔 것이 아니라,
GIF 포맷의 구조적인 한계와 브라우저 성능을 모두 고려한 최적의 기준치예요.
🧠 1. GIF는 압축 효율이 낮아요
GIF는 PNG처럼 풀컬러 이미지를 다루지 못합니다.
한 프레임당 최대 256색만 표현할 수 있는 팔레트 기반 포맷이에요.
그래서 해상도가 커질수록 압축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고,
900px을 넘으면 파일 용량이 수십 MB까지 커지게 됩니다.
예를 들어 5초짜리 영상도
900px 이상이면 수십 MB, 로딩에 수 초가 걸릴 수 있어요.
⚙️ 2. 브라우저가 처리할 수 있는 메모리 한계
Video to GIF 변환기는 100% 브라우저 내부에서 WebAssembly로 동작합니다.
즉, 서버가 아닌 여러분의 PC가 직접 변환을 수행하죠.
이 과정에서 브라우저는 매 프레임을
Canvas로 그리고, 픽셀을 추출하고, 다시 압축합니다.
10초짜리 1080p 영상을 변환한다고 하면
수백 MB의 메모리를 한 번에 쓰게 되어 모바일이나 저사양 환경에서는 작동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900px은 WebAssembly가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실질적 한계선이에요.
⚡ 3. 속도·화질·용량의 균형점
GIF 변환 속도는 해상도에 거의 비례해 느려집니다.
픽셀 수가 2배면, 변환 시간도 2배 이상 늘어나죠.
- 420px → 2~3초 내 변환 완료
- 900px → 약 5~8초
- 1200px 이상 → 20초 이상 or 브라우저 멈춤 ⚠️
즉, 900px은 화질 손실 없이 안정적으로 변환 가능한 상한선이에요.
🌍 4. 웹 환경에서의 실질적 해상도 한계
사실 대부분의 플랫폼은
900px 이상으로 GIF를 보여주지 않습니다.
| 플랫폼 | 최대 표시 폭 |
|---|---|
| 네이버 블로그 | 약 900px |
| 트위터 / X | 약 800px |
| 인스타그램 피드 | 약 640px |
| 디스코드 / 메신저 | 약 480~600px |
즉, 900px은
웹·모바일 환경에서 보이는 최대 해상도 수준이에요.
그 이상은 화질 이득보다 부하와 용량이 더 커집니다.
✅ 결론
900px 제한은 화질·속도·안정성의 균형을 위한 결정입니다.
- 900px 이하는 빠르고 안정적으로 변환
- 그 이상은 브라우저 성능·메모리 한계로 비효율적
💬 마무리
Video to GIF 변환기의 목적은 단순합니다.
“누구나 브라우저 안에서 빠르고 안전하게 GIF를 만들 수 있게.”
900px 제한은 그 철학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예요.
이 범위 안에서도 충분히 고화질의 GIF를 만들 수 있으니,
여러분의 창의력을 마음껏 발휘해보세요. 🎨
P.S.
이 서비스가 마음에 드신다면, 주변 분들에게도 추천해주세요.
여러분의 파일을 안전하게 지키면서 멋진 GIF를 만들 수 있는 도구입니다.
💬 댓글
자유롭게 의견을 나눠주세요